request, response 외에 JSP에서 기본적으로 제공하는 객체에 대해 알아보자
- config 객체
Web.xml의 데이터를 JSP에서 데이터를 공유하는 방식이다.
init-param으로 name과 value 쌍을 이루어 값을 초기화 해두고 작업을 하는 JSP에서 얻어 올 수 있다.
Config 객체로 부터 getInitParameter를 이용하여 초기화 된 값을 가져오는 방식이다.
한 번 해보도록 할 텐데 JSP 초기 설정하는 방법에서 자꾸 실수해서 오랜만에 여기다가 다시 기록하려 한다.
이렇게 jakarta EE로 server는 tomcat을 설정을 해주고
다음 페이지에서는 Servlet을 설정을 해준 뒤 만들어준다.
만든 후 Project Structure에서
web.xml을 추가해준다.
src -> main -> webapp에 jsp를 만들 수 있게 된다.
그럼 이대로 만들어보자
우선 web.xml에서
이렇게 mapping을 해준 다음
이렇게 init-param들을 추가해준다.
그 다음에는 jsp파일을 만든 후 초기화된 값들을 가져와보자
이렇게 출력을 위해 <p>태그까지 달고
실행 한 후 접속해보면
이렇게 xml에 설정해 둔 초기값들이 출력되는 것을 볼 수 있다.
- application 객체
application 객체는 해당 프로젝트 전체에 영향을 미친다.
여기에 context param을 이용하면 모든 Servlet에서 모두 공유될 수 있는 데이터를 만들 수 있다.
우리가 사용했던 web.xml에 context-param을 추가한다.
application에서 전체적으로 공유하고 싶어하는 데이터를 이렇게 web.xml에 context-param으로 정의를 하고
JSP 파일에도 application.getInitParam을 이용해 데이터를 가져온다.
그러면 공유 객체도 이렇게 잘 가져오는 것이 보여진다.
application 객체는 프로젝트 전체에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속성을 저장하고 다른 곳에서 그렇게 만들어진 속성을 가져갈 수 있다.
이렇게 application.setAttribute를 이용해서 값을 설정해주고
application.getAttribute를 이용해서 값을 가져오는 방식이다.
이렇게 추가된 속성을 가져올 수 있다.
'백엔드 > JSP, Servlet' 카테고리의 다른 글
JSP & Servlet 12일차 (0) | 2023.02.05 |
---|---|
JSP & Servlet 11일차 (0) | 2023.02.05 |
JSP & Servlet 10일차 (0) | 2023.01.16 |
JSP & Servlet 9일차 (0) | 2023.01.15 |
JSP & Servlet 7일차 (0) | 2023.01.04 |